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니트족이 증가한다는데

by 생생정보팀 2021. 9. 25.

니트족 청년이 10만명에 육박한다고 하는데요. 우리사회의 모습을 반영하고 있는 니트족이란 어떤 이들을 말하는 것일까요. 그리고 왜 이들을 니트족이라고 부르는 것일까요

 

니트족이란 누구이며, 이들은 왜 이런 삶을 살고 있는지 아래에서 확인해보시죠.

 

니트족이 증가한다

니트족이 증가한다

  • 니트족은 영어로 Not in Education, Employment or Training 로 표현하며, 영어의 각 앞글자를 따서 NIEET라고 쓰는데요. 영어를 해석해보면 일하지않고 일할의지도 없는 이들을 뜻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아무런 구직활동이나 직업교육, 취업시험 준비, 육아나 가사 활동을 하지 않고 집에서 머무는 청년들을 일컫는 용어라고 합니다.
  • 일하지 않고 일할 의지도 없는 청년 무직자인 이들은 보통 15∼34세 사이의 취업인구가 해당된다고 합니다.

 

니트족 시작

니트족은 과거 1990년대 영국에서 처음 나온 용어라고 합니다. 학교 밖 10대 청소년을 지칭하는 목적으로 처음 사용된 이 용어는 실업난을 보여주는 용어로 자리잡아가고 있는데요. 우리나라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이러한 니트족들의 비율이 늘어나고 있다고하죠

 

니트족 OECE 국가 비율

지난 2019년 기준으로 OECE 국가들의 니트족 비율을 보면, ▲터키(41.3%) ▲이탈리아(19.5%) ▲스페인(15.2%) ▲한국(18.2%) ▲프랑스(14.9%) ▲미국(13.2%)를 차지할 정도로 우리나라 니트족 비율이 적다고 할 수 없는 수준입니다

 

하지만 재미있는 점은 다른 국가들에 비해 한국의 니트족들은 고학력자가 많다는 점인데요. 한 분석자료에 따르면 대학을 마친 고학력자의 비율은 42.5%로 OECD 국가들중 가장 많았다고 합니다. 반면 고등학교를 마치지 않은 저학력자는 6.8%로 가장 적은 비율을 차지했다고 하는데요

 

 

니트족 최근 통계

니트족의 증가 추세는 최근 통계청의 분석자료를 봐도 알 수 있습니다. 올해 5월 중순 기준  3년 이상 장기 미취업 상태인 청년은 27만 8천명으로 이들 중 9만 6천명이 구직 활동을 하지 않고 집에서 시간을 보내는 니트족이라고 합니다. 작년에 비해 35.8%나 증가한 수치라고 하죠

 

이런 니트족들중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1.8배 많은 수치를 보이고 있으며, 연령대별로는 20대 후반이 63.5%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고 합니다

 

 

니트족 사회경제적 부담

 

니트족이 계속 해서 늘어나고 많다는 것은 청년 노동력의 활용 기회를 상실하고, 사회경제적으로는 막대한 기회비용을 부담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해요.

 

가장 활발하게 경제활동을 해야할 시기에 집에서만 머무는 니트족들이 왜 이런 선택을 하고 있는지 우리 사회경제 전반의 문제를 들여다봐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니트족이란 누구이며 이들이 얼만큼 증가하고 있는지 그 추세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