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상풍 증상과 주사 가격 및 간격 안내
오염된 상처를 통해 감염되는 파상풍은 일반적으로 녹슨 못에 찔리면 걸리는 것으로 많이 알고 있습니다.
파상풍에 걸리게 되면 근육의 뻣뻣함과 각종 통증 등의 증상을 동반하며 합병증까지 올 수 있어 예방 접종이 중요합니다. 파상풍 예방접종 주사 간격과 가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파상풍 증상과 주사 가격 및 간격 안내
파상풍 증상
파상풍에 걸리게 되면 길게는 한 달 이상의 잠복기를 거쳐 그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보편적으로 많이 나타나는 증상으로는 근육의 뻐근함을 포함한 전신에 나타나는 통증과 두통, 미열, 오한 등이 있습니다.
이런 증상은 얼굴로 까지 이어져 안면 경련을 일으키기도 하고 음식을 삼키기도 어려워지기도 합니다. 또한 호흡기 근육에도 영향을 줘 호흡 곤란이 생기기도 합니다.
파상풍은 한번 앓고 나면 회복이 되어도 영구 면역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만약 파상풍에 걸리고 회복한 경우라면 반드시 파상풍 주사 예방 접종을 해야 한다고 합니다.
파상풍 주사 예방 접종
파상풍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호흡 곤란 및 합병증을 일으켜 심할 경우 사망에 이르기도 하기 때문에 파상풍 예방을 위한 예방접종이 중요합니다
파상풍 주사 기간을 살펴보면, 모든 영유아와 소아의 경우 생후 2/4/6개월 차에 기초접종을 실시하며, 생후 15~18개월, 4~6세, 11~12세 사이에 추가 접종을 하게 됩니다. 주사 맞는 곳은 영유아의 경우 대퇴부 전외측에, 소아와 성인의 경우 삼각근 부위에 근육주사로 맞게 됩니다.
파상풍 예방 접종 주사의 경우 접종 기관에 따라 가격이 조금씩 차이가 있습니다. 보통 3만~4만 원가량으로 알려져 있으며, 자세한 가격 문의는 접종 기관을 통해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파상풍 의심될 때
만약 파상풍 의심 증상이 나타날 때는 지체 없이 신고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감염병 발생 신고서를 작성하여 관할 보건소로 팩스나 웹으로도 신고할 수 있는데요. 파상풍 의심 증상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세요.
파상풍 예방 주사를 완료했거나 몇 차례 접종했는지 모를 경우 상처 발생으로 인해 파상풍이 의심된다면 어떻게 해야 될까요. 질병관리청 감염병 포털을 통해 상처 발생 시 파상풍 예방 수칙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
댓글